혼마 마사하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혼마 마사하루는 일본 제국의 군인으로, 니가타현 출신이다. 육군사관학교와 육군대학교를 졸업하고, 영국 주재 무관, 제27사단장, 타이완군 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태평양 전쟁 중 제14군 사령관으로서 필리핀 침공을 지휘하여 마닐라를 점령했으나, 바탄반도 전투에서 미군과 필리핀군의 저항에 부딪혔다. 이후 바탄 죽음의 행진과 관련되어 전범으로 기소되었고, 1946년 총살형을 선고받았다. 그의 재판과 처형은 더글러스 맥아더의 복수극이라는 논란을 낳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국에서 사형된 일본 사람 - 홍사익
홍사익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로, 몰락 양반 출신으로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여 중장까지 진급, 만주국군 고문 및 필리핀 포로수용소장을 지냈으며, 독립운동 지원 활동에도 관여했으나 전범으로 사형당한 인물로, 그의 삶은 친일 협력과 독립운동 지원 사이의 복잡한 갈등을 보여준다. - 외국에서 사형된 일본 사람 - 야마시타 도모유키
일본 제국 육군 대장 야마시타 도모유키는 말레이 작전 지휘로 "말레이의 호랑이"라는 명성을 얻었으나, 종전 후 전쟁 범죄 혐의로 사형당했고, 그의 재판은 지휘 책임에 대한 논쟁과 '야마시타 기준'이라는 법적 선례를 남겼다. - 독일 독수리 대십자 훈장 수훈자 - 도고 시게노리
도고 시게노리는 조선인 도공 후손으로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외무성에 들어가 만주, 스위스, 독일, 소련 등지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소일 중립 조약 체결에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외무대신으로서 미일 관계 개선을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여 전범으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으며,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용을 주장하여 일본 항복에 기여한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독일 독수리 대십자 훈장 수훈자 - 오시마 히로시
오시마 히로시는 일본 육군 중장으로, 주독일 대사로 활동하며 반 코민테른 조약 및 삼국 동맹 조약 체결에 기여했고, 독일의 전쟁 정보를 일본에 보고했으나 연합군에 의해 해독되었으며,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 BC급 전범 - 우가키 가즈시게
우가키 가즈시게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대신과 조선총독을 역임했으며, 군사 개혁을 단행하고 황국신민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수상 취임에 실패하고 외무대신으로서 중일 전쟁 종식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후 참의원 의원을 지냈다. - BC급 전범 - 홍사익
홍사익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로, 몰락 양반 출신으로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여 중장까지 진급, 만주국군 고문 및 필리핀 포로수용소장을 지냈으며, 독립운동 지원 활동에도 관여했으나 전범으로 사형당한 인물로, 그의 삶은 친일 협력과 독립운동 지원 사이의 복잡한 갈등을 보여준다.
혼마 마사하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본마 마사하루 |
원어 이름 | 本間 雅晴 |
로마자 표기 | Honma Masaharu |
별명 | 시인 장군 |
출생일 | 1887년 11월 27일 |
출생지 | 니가타현사도시 |
사망일 | 1946년 4월 3일 |
사망지 | 필리핀 로스바뇨스, 라구나 |
사망 원인 | 총살형 |
군사 정보 | |
소속 | 일본 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907년–1943년 |
최종 계급 | 육군 중장 |
지휘 | 제27사단 (일본군) 대만군 (일본군) 제14군 (일본군) |
참전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관직 | |
필리핀 총독 | 임기 시작: 1942년 1월 3일 임기 종료: 1942년 6월 8일 전임자: 새로 설립됨 후임자: 다나카 시즈이치 |
필리핀 군정청 장관 | 임기 시작: 1942년 1월 3일 임기 종료: 1942년 1월 23일 전임자: 새로 설립됨 후임자: 호르헤 바르가스 |
훈장 | |
훈장 내역 | 욱일장 독일 수리 십자장 공훈십자장 |
2. 생애
혼마 마사하루는 1887년 니가타현 사도섬에서 태어나, 육군사관학교와 육군대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 영국 주재 무관으로 근무하며 서구 문화를 접했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밀리터리 크로스 훈장을 받기도 했다.
중일 전쟁 발발 후, 제27사단장으로 참전하여 톈진 조계 봉쇄 작전을 지휘했다. 태평양 전쟁에서는 제14군 사령관으로 필리핀 공략전을 지휘, 마닐라를 점령하고 바탄 반도와 코레히도르 섬을 함락시켰다. 그러나 바탄 죽음의 행진으로 인해 전범으로 기소되어 총살형에 처해졌다.
필리핀 공략전 초기, 미·필리핀 연합군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혀 고전했다. 특히 바탄 반도에서의 전투는 치열했으며, 일본군은 많은 사상자를 냈다. 증원군을 받은 후에야 바탄과 코레히도르 섬을 함락시킬 수 있었다.
한편, 더글러스 맥아더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명령으로 가족과 함께 B-17을 타고 오스트레일리아로 탈출했다. 맥아더가 탈출한 후, 일본군은 바탄 반도를 점령하고 약 7만 6천 명의 미군 및 필리핀군 포로를 캠프 오도넬로 이송하려 했으나, 이송 계획 미비로 인해 많은 포로가 사망하는 바탄 죽음의 행진이 발생했다.
일본군이 필리핀을 함락시키자 혼마는 다음과 같은 시를 읊었다.
> 밀림의 나무 그늘에 스러진 벗들을 생각하건대 이렇게 목숨 부지함이 용서 받을 수 있을까
바탄 반도 함락 후, 혼마는 1942년 8월 참모본부 부(附)로[34] 일본으로 돌아왔고, 예비역에 편입되었다. 1945년 일본의 항복 이후, "바탄 죽음의 행진"에 대한 책임을 물어 A급 전범으로 체포되어 마닐라 군사재판에 회부되었다. 혼마는 자신의 책임을 부인했지만, 결국 유죄 판결을 받고 1946년 총살형에 처해졌다.
혼마의 처형은 코레히도르에서 굴욕적인 패배를 당한 맥아더의 복수라는 견해가 있다.[36]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혼마 마사하루는 1907년 니가타현(新潟県) 사도군(佐渡郡) 하타노정(畑野町)(현 사도시(佐渡市))에서 혼마 겐키치(本間賢吉)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사도중학(佐渡中学)을 거쳐 육군사관학교에 진학하여 1907년(메이지 40년) 육군사관학교(19기)를 보병과 2위로 졸업하고,[32] 1915년(다이쇼 4년)에는 육군대학교(陸軍大学校)(27기)를 3위로 졸업했다.[32] 1933년 보병 제1연대장이 되기 전까지 실전 부대 지휘 경험은 없었다.혼마는 8년 동안 영국에서 무관으로 근무하면서 서구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게 되었다. 1917년에는 이스트 랭커셔 연대에 배속되었고, 1918년에는 프랑스에서 영국 원정군과 함께 복무하며 밀리터리 크로스 훈장을 받았다.[2]
1930년부터 1932년까지 혼마는 다시 영국에 무관으로 파견되어 영어 능력을 활용했다. 그는 1932년 제네바 군축 회의(Geneva Disarmament Conference) 일본 대표단의 일원으로 파견되었고, 1932년부터 1933년까지 일본육군성(陸軍省)의 언론 부서에서 근무했다. 그는 1933년부터 1935년까지 제1보병연대장, 1935년부터 1936년까지 제32보병여단장을 역임했다.[3]
1937년 혼마는 히로히토(裕仁) 일왕의 동생인 치치부궁 요시히토 친왕의 측근이 되었다. 그는 치치부궁과 함께 서유럽을 외교 순방하며 조지 6세(George VI)의 즉위식에 참석했다. 이어 독일에 방문하여 뉘른베르크 집회에 참석하고 아돌프 히틀러를 만났으며, 치치부궁은 1936년 반 코민테른 조약 이후 관계 개선을 시도했다. 그는 이후 제국군대의 타이완 군 사령관으로 복무하며 군가 "타이완 군가(臺灣軍歌)"의 가사를 작사했다. 야마구치 요시코(중국명 리샹란(李香蘭))가 타이완인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이 노래를 불렀다.
1938년 7월 중장으로 승진했다. 중일전쟁이 시작되자 1938년부터 1940년까지 중국에서 제27사단장으로 임명되어 톈진의 외국인 조계 봉쇄를 지휘하며 영국과 협상을 벌였다.[4] 난징 함락 후 그는 "즉각 평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재앙이 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선언했다.[5] 혼마는 전선에서 물러나 1940년부터 1941년까지 타이완 군사령관으로 재배치되었다.
그의 초기 생애와 군 경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907년 | 육군사관학교 졸업 (19기), 소위 임관, 제16보병연대 배속 |
1910년 | 중위 진급 |
1915년 | 육군대학교 졸업 (27기) |
1916년 | 참모본부 근무 |
1917년 | 대위 진급, 참모본부 부관(중국과) |
1918년 | 영국 주재 |
1921년 | 육군대학교 병학 교관 |
1922년 | 소좌 진급, 인도 주재 무관 |
1926년 | 중좌 진급 |
1927년 | 秩父宮(치치부노미야) 전속 무관 |
1930년 | 영국 대사관 부속 무관, 대좌 진급 |
1932년 | 육군성 신문반장 |
1933년 | 제1보병연대장 |
1935년 | 소장 진급, 제32보병여단장 |
1936년 | 유럽 출장 |
1937년 | 참모본부 제2부장 |
1938년 | 중장 진급, 제27사단 사단장 |
1940년 | 타이완군 사령관 |
2. 2. 영국 근무 및 국제적 감각
혼마는 8년 동안 영국에서 무관으로 근무하면서 서구에 대한 깊은 존중과 이해를 갖게 되었다. 1917년에는 이스트 랭커셔 연대에 배속되었고, 1918년에는 프랑스에서 영국 원정군과 함께 복무하며 밀리터리 크로스 훈장을 받았다.[2]1930년부터 1932년까지 혼마는 다시 영국에 무관으로 파견되어 영어 능력을 활용했다. 1932년 제네바 군축 회의(Geneva Disarmament Conference) 일본 대표단의 일원으로 파견되었고, 1932년부터 1933년까지 일본육군성(陸軍省)의 언론 부서에서 근무했다. 1933년부터 1935년까지 제1보병연대장, 1935년부터 1936년까지 제32보병여단장을 역임하며 현장 지휘를 맡았다.[3]
1937년 혼마는 히로히토(裕仁) 일왕의 동생인 치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의 측근이 되었다. 그는 친왕과 함께 서유럽을 외교 순방하며 조지 6세의 즉위식에 참석했다. 이어 독일에 방문하여 뉘른베르크 집회에 참석하고 아돌프 히틀러를 만났으며, 친왕은 1936년 반 코민테른 조약 이후 관계 개선을 시도했다. 이후 혼마는 제국군대의 타이완 군 사령관으로 복무하며 군가 "타이완 군가(臺灣軍歌)"의 가사를 작사했다. 야마구치 요시코(중국명 리샹란(李香蘭))가 타이완인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이 노래를 불렀다.
2. 3. 중일 전쟁 참전
1937년 중일전쟁이 시작되자 혼마는 1938년부터 1940년까지 중국에 주둔한 제27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4] 1938년 7월 15일에는 중장으로 진급하여 우한 공략에 참여했다.[28] 그는 톈진의 외국인 조계 봉쇄를 지휘하며 영국과 협상을 벌였다.[4] 난징 함락 후, 혼마는 "즉각 평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재앙이 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선언했다.[5]2. 4. 태평양 전쟁과 필리핀 점령
태평양 전쟁에서 혼마 마사하루는 제14군 사령관으로서 필리핀 공략전을 지휘했다. 당초 전황은 순조로워 제14군은 마닐라 점령에 성공했다. 마닐라 주둔에 즈음하여 장교 800명을 마닐라 호텔 앞에 불러놓고 한 시간에 걸쳐 "불지르지 말라. 범하지 말라. 빼앗지 말라."고 다그치며 위반자는 엄벌에 처하도록 훈시했다.[33] 바탄 반도에서 미·필리핀군의 완강한 공격을 받아 다수의 손해를 입어 공세가 정체되었으며(제1차 바탄 반도 전투), 이후 대부대 증원에 따라 바탄 및 코레히도르 섬은 함락되었다.(제2차 바탄 반도 전투)한편, 적장 더글러스 맥아더는 일본군에 몰려 자신이 포로로 잡힐지도 모르는 지경에 이르렀다.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은 맥아더를 개인적으로 싫어했지만, 맥아더가 전사하거나 포로로 잡히면 국민 사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여 맥아더와 필리핀의 마누엘 케손 대통령에게 오스트레일리아로 탈출할 것을 명했다. 맥아더는 부하를 내버려둔 채 가족을 데리고 파인애플밭 비밀 비행장에서 B-17을 타고 오스트레일리아로 도망쳤다.
맥아더가 코레히도르 섬을 탈출한 후, 일본군은 바탄 반도를 점령하고 미·필리핀군 약 7만 6천 명을 포로로 잡았으나, 오도넬 기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이송 계획 미비로 인해 다수의 포로가 사망했다.
일본군이 필리핀을 함락시키자 혼마는 다음과 같은 시를 읊었다.
> "밀림의 나무 그늘에 스러진 벗들을 생각하건대 이렇게 목숨 부지함이 용서 받을 수 있을까
(かくありて 許さるべきや 密林の 木陰に消えし 友等を思へば)"
이 시는 필리핀 함락에 즈음하여 육군성이 발행한 기념 메달에도 새겨졌다.
2. 5. 바탄 죽음의 행진과 전범 재판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제14군 사령관으로 필리핀 공략전을 지휘했던 혼마 마사하루는 바탄 반도에서 미군과 필리핀군(미국 극동 육군)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혀 많은 사상자를 냈고, 초기 작전은 정체되었다. 증원군을 받은 후에야 바탄과 코레히도르섬을 함락시킬 수 있었다.[33]한편, 더글러스 맥아더는 일본군에 밀려 포로가 될 위기에 처하자,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명령으로 가족과 함께 B-17을 타고 오스트레일리아로 탈출했다. 맥아더가 탈출한 후, 일본군은 바탄 반도를 점령하고 약 7만 6천 명의 미군 및 필리핀군 포로를 캠프 오도넬로 이송하려 했으나, 이송 계획 미비로 인해 많은 포로가 사망하는 바탄 죽음의 행진이 발생했다.[33]
일본군이 필리핀을 함락시킨 후, 혼마는 다음과 같은 시를 지었다.
이 시는 육군성이 발행한 기념 메달에도 새겨졌다.
바탄 반도 함락 후, 혼마는 1942년 8월에 참모본부 부(附)로[34] 일본으로 돌아왔고, 예비역에 편입되어 군무에서 물러나 필리핀 협회 이사장을 지내며 종전을 맞았다.[34] 예비역 편입은 바탄 공략 당시의 실책에 대한 문책으로 알려져 있다.
종전 후, 혼마는 "바탄 죽음의 행진" 관계자가 처벌될 것을 우려하여 육군 중장으로서의 예우 정지 처분을 받았다.[34] 1945년 12월, A급 전범 용의자로 지목되어 스가모 구치소에서 아쓰기 비행장을 거쳐 마닐라로 이송되었다.[35]
마닐라 군사재판에서 혼마는 "바탄 죽음의 행진"의 책임자(전범)로서 소환되었다. 혼마는 인도주의자였고, 포로에 대한 비인도적 행위는 부하의 책임이라고 주장했지만, 결과적으로 책임을 지고 유죄 판결을 받아 사형이 결정되었다.[36] 이 재판은 "지휘자 책임"이라는 사후법에 근거한 것이었다.[36] 혼마의 변호단은 미국 연방 대법원에 인신보호령을 요청했으나 기각되었다.[36]
처형은 1946년 4월 3일, 제14군 사령관으로서 총공격 명령을 내렸던 4년 전 같은 날, 같은 시각에 집행되었다. 대부분의 장교가 교수형에 처해진 것과 달리, 혼마는 군복 착용이 허용되었고, 명예를 존중받아 총살형으로 처형되었다.[37] 야마시타 도모유키는 죄수복을 입은 채 교수형에 처해졌다.
혼마의 사세구는 다음과 같다.
1945년 12월 19일 심리 개시, 1946년 2월 11일 판결, 4월 3일 총살이라는 빠른 처형은 코레히도르에서 굴욕적인 패배를 당한 맥아더의 복수극이라는 견해가 있다.[36]
3. 논란과 평가
혼마 마사하루의 재판은 불공정하거나 편향되었다는 주장이 여러 차례 제기되었다. 그의 재판과 처형은 주로 맥아더 장군의 군대를 패배시킨 혼마에 대한 복수를 위한 것이었다는 주장이 있다.[18]
프랭크 머피 부대법관은 연방 대법원의 증거 규칙에 대한 심리를 거부하는 데 대해 반대 의견을 내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We either live up to the noble spirit and atmosphere of our Constitution in these trials or we abandon all pretense to justice, let the ages slip away and descend to the level of revengeful blood purges.|우리가 우리 헌법의 고귀한 정신과 분위기 속에서 이러한 재판을 진행하거나, 정의에 대한 모든 겉치레를 버리고, 세월이 흘러가도록 내버려 두고, 복수심에 찬 피의 숙청 수준으로 떨어지거나 둘 중 하나입니다.영어[18]
혼마의 주요 변호인인 존 H. 스킨 주니어는 "최종 결과가 무엇일지에 대한 의심의 여지가 없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 매우 불규칙적인 재판"이었다고 말했다.[19]
혼마에게 사형을 선고한 5명의 재판관 중 한 명인 아서 트루도 장군은 1971년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There is no question but that weak or wounded soldiers were shot or bayoneted on this Death March and that was the point, how far up the chain of command did the responsibility for the murders or crimes go, and that was what General Homma was accused of... We had to ponder our wisdom in condemning General Homma to death. I must admit I was not much in favor of it. In fact, I opposed it but only to the extent of having him shot as a soldier and not hanged... I thought he was an outstanding soldier.|약하거나 부상당한 병사들이 이 죽음의 행군에서 총에 맞거나 총검에 찔린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문제는 몇 개의 지휘 계층까지 살인이나 범죄에 대한 책임이 있는가 하는 것이며, 그것은 호마 장군이 비난받은 것입니다... 우리가 호마 장군을 사형 선고한 것에 대한 우리의 지혜에 대해 숙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저는 그것에 대해 별로 찬성하지 않았음을 인정해야 합니다. 사실, 저는 반대했지만 그를 병사로서 총살당하게 하고 교수형에 처하지 않도록 하는 정도로만 반대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그가 뛰어난 군인이라고 생각했습니다.영어[20]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다른 결론을 내렸고, 이 사건에 대한 그의 검토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If this defendant does not deserve his judicial fate, none in jurisdictional history ever did. There can be no greater, more heinous or more dangerous crime than the mass destruction, under guise of military authority or military necessity, of helpless men incapable of further contribution to war effort. A failure of the due process of law to punish such acts of criminal enormity would threaten the very fabric of world society.|만약 이 피고가 그의 사법적 운명을 받을 자격이 없다면, 관할권 역사상 그 누구도 그럴 자격이 없을 것입니다. 군사적 권위나 군사적 필요성이라는 구실 아래 전쟁 노력에 더 이상 기여할 수 없는 무력한 사람들을 대량 학살하는 것보다 더 크고, 더 끔찍하고, 더 위험한 범죄는 없습니다. 이러한 엄청난 범죄 행위를 처벌하는 법적 절차의 실패는 세계 사회의 기반 자체를 위협할 것입니다.영어[21]
4. 개인사
온후한 성격으로 육군에서 수준급으로 영어를 잘했다. 시를 지어 〈아침 해에 향기로운 벚꽃(朝日に匂ふ桜花)〉, 〈대만군의 노래(台湾軍の歌)〉 등 많은 군가의 작사를 맡았다. 이마무라 히토시 육군대장과는 동기로 육사입학시험에서 이웃한 자리에서 수험을 본 것을 시작으로 하여 주영(英)무관 시절에는 오랫동안 사귀어 동무로서 깊이 교류하였다.
키 180cm 남짓의 당당한 체구에 미남자였던 탓에 지치부노미야 부(황족부무관) 당시에는 상류계급의 살롱에서 제법 소문이 자자했다. 지치부노미야는 방만한 성격이었던지라 그 행동에 주위에서는 정신사납다며 불평했고 혼마 역시 입으로는 "곤란합니다" 하면서 테니스 상대를 하며 신경을 써주었다고 한다.
예비역 편입 후 필리핀 공략전의 적장이던 맥아더를 "문무양도(文武両道)의 명장이네. 문 가운데에서도 문치(文治)의 면 역시 대단한 정치가야. 이러한 명장과 싸우게 된 것은 나의 명예이며, 흔쾌일세."라고 평했다. 얄궂게도 혼마는 그 "문무양도의 명장"에게 원한을 사서 사형을 당하게 되었다.
결혼을 2번 했으며 초취 도모코(智子)와는 1913년에 결혼하였다. 참모차장을 지낸 다무라 이요조 중장의 딸이었으나 대단히 자유분방한 생활을 보내어 여배우를 따라하여 무대에 오르거나 수많은 남성과 염문을 흘리는 등 주위로부터 빈축을 사는 인물이었다.[27] 해외 주재 중 파국을 알게 되어 실의에 빠진 나머지 창문으로 뛰어내리려던 것을 이마무라가 겨우 제지했다고 한다.
재취 후지코(富士子)는 전범재판에서 증인(証人)으로 출정하여 다음과 같이 진술하였다.
> 저는 지금도 혼마의 아내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저는 남편 혼마에게 감사하고 있습니다. 딸에게도 혼마와 같은 남자에게 시집가라고 가르칠 것입니다. 아들에게는 일본의 충신인 아버지와 같은 사람이 되라고 가르칠 것입니다. 제가 혼마에 관해 증언할 것은, 단지 그것뿐입니다…….
그 의연한 모습에 혼마 자신은 물론이고 판사(裁判官)와 검사(検事)도 감동의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5. 연표
- 1907년(메이지 40년) 5월 - 육군사관학교 졸업(19기).[22]
- 1907년 12월 - 소위 임관. 제16보병연대 배속.
- 1910년(메이지 43년) 11월 - 중위로 진급.
- 1915년(다이쇼 4년) 12월 11일 - 육군대학교 졸업(27기). 석차 3위, 황실 사령검 하사[28].
- 1916년(다이쇼 5년) 8월 - 참모본부 근무.
- 1917년(다이쇼 6년) 8월 - 대위로 진급. 참모본부 부관(중국과).
- 1918년(다이쇼 7년) 4월 - 영국 주재.
- 1921년(다이쇼 10년) 6월 - 육군대학교 병학 교관.
- 1922년(다이쇼 11년) 8월 - 소좌로 진급.
- 1922년 11월 - 인도 주재 무관.
- 1926년(다이쇼 15년) 8월 - 중좌로 진급.
- 1927년(쇼와 2년) 1월 - 秩父宮(치치부노미야) 전속 무관.
- 1930년(쇼와 5년) 6월 3일 - 영국 대사관 부속 무관.
- 1930년 8월 1일 - 대좌로 진급.
- 1932년(쇼와 7년) 8월 8일 - 육군성 신문반장.
- 1933년(쇼와 8년) 8월 1일 - 제1보병연대장.
- 1935년(쇼와 10년) 8월 1일 - 소장으로 진급. 제32보병여단장.
- 1936년(쇼와 11년) 12월 1일 - 유럽 출장.
- 1937년(쇼와 12년) 7월 21일 - 참모본부 제2부장.
- 1938년(쇼와 13년) 7월 15일 - 중장으로 진급. 제27사단 사단장. 우한 공략에 참여.
- 1940년(쇼와 15년) 12월 2일 - 타이완군 사령관.
- 1941년(쇼와 16년) 11월 6일 - 제14군 사령관.
- 1942년(쇼와 17년) 8월 - 참모본부 부속[24].
- 1942년 8월 31일 - 예비역 편입.
- 1946년(쇼와 21년) 4월 3일 - 로스바뇨스에서 총살형에 처해짐.
6. 영전
참조
[1]
잡지
The Trial of General Homma
https://www.american[...]
American Heritage Society
2019-08-26
[2]
서적
Shokan: Hirohito's Samurai
1992
[3]
서적
The Generals of World War II
[4]
웹사이트
The Pacific War Online Encyclopedia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2000
[9]
뉴스
Beast of Bataan
https://www.wcslaw.c[...]
2018-12-18
[10]
뉴스
New York Times
1942-04-03
[11]
서적
Japanese Army in World War II – Conquest of the Pacific 1941–42
Osprey Publishing
2005
[12]
저널
Trial of General Homma
http://www.americanh[...]
2015-09-06
[13]
웹사이트
U.S. Military Courts (S-1804-0184 – S-1804-0310)
https://www.legal-to[...]
2018-12-18
[14]
서적
Inside the Bataan Death March: Defeat, Travail and Memory
[15]
서적
[16]
웹사이트
Homma Verdict 1945
https://www.youtube.[...]
Robert H. Jackson Center
2009-06-20
[17]
웹사이트
Los Baños During the Japanese Period
http://www.losbanos.[...]
2020-04-29
[18]
법률
Application of Homma
1946
[19]
서적
[20]
서적
Engineer memoirs
http://publications.[...]
US Army Corps of Engineers, Office of the Chief of Engineers
[21]
서적
Occupation of Japan, 1945–1950, MacArthur, Reminiscences
Bluejacket Books, Naval Institute Press
1964
[22]
서적
2005
[23]
웹사이트
【岩田義泰】証言シリーズ:知られざる戦車部隊の勇戦-中編【桜H22/8/30】
https://www.youtube.[...]
日本文化チャンネル桜
2010-08-31
[24]
서적
2005
[25]
서적
昭和ニュース辞典第8巻 昭和17年/昭和20年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94
[26]
서적
2013
[27]
서적
或る女
1921
[28]
서적
2005
[29]
간행물
官報
1941-10-23
[30]
간행물
官報
1940-09-13
[31]
간행물
官報
1940-01-24
[32]
서적
2005
[33]
웹사이트
【岩田義泰】証言シリーズ:知られざる戦車部隊の勇戦-中編【桜H22/8/30】
http://www.youtube.c[...]
日本文化チャンネル桜
2010-08-31
[34]
서적
2005
[35]
서적
昭和ニュース辞典第8巻 昭和17年/昭和20年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94
[36]
논문
2013
[37]
quot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